반응형
안녕하세요, NIE로 생각과 역사의 흐름을 함께 배우는 NIE지도사입니다 :)
오늘은 주니어생글생글 165호에 있는 기사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노인은 일하고 청년은 쉰다? – 통계로 보는 초고령 사회의 현실
📊 기사 요약
2025년 5월 기준,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 수는 처음으로 700만 명을 넘어섰고,
반대로 20대 청년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2만 명 감소했다는 통계가 발표되었어요.
수명이 길어진 만큼 경제적 이유로 60세 이후에도 계속 일하는 고령자가 늘어난 반면,
청년들은 취업 시장 진입 자체가 어렵고, 인공지능(AI)의 영향으로 단순 업무 기회도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 함께 지적되었죠.
💬 아이들과 나눌 수 있는 질문
- 왜 60대 이상이 더 많이 일하게 되었을까요?
- 청년들이 취업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 AI가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 NIE 활동
- 고령층과 청년층의 취업 통계 비교 그래프 읽기
- 기사 속 인과관계 찾기 –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 ‘내가 바라보는 미래의 직업 세계’ 글쓰기
🔍 확장할 수 있는 생각 주제
1. 초고령 사회,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2. 청년 실업의 원인은 무엇일까?
3. AI와 자동화, 일자리를 위협할까?
4. 세대 갈등 문제와 사회적 연대
5. 국가의 역할은 어디까지일까?
👩🏫 NIE 수업 포인트
이번 기사는 단순한 경제 통계가 아니라, 우리 사회 구조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주제에요.
특히 아이들이 앞으로 살아갈 미래와도 관련이 깊은 만큼,
비판적 사고, 문제 인식, 나만의 의견 표현까지 함께 훈련할 수 있습니다.
신문을 통해 세상의 구조를 읽고, 그 속에서 스스로 생각을 정리하는 연습.
이게 바로 NIE 수업의 핵심입니다! 😊